
SEOUL W DENTAL HOSPITAL
예약&상담
온라인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충주고등학교에 재학중이고 치의예과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학교에서 심화탐구프로젝트를 진행하여 뮤탄스균을 직접 배양하여 충치가 발현 될 수 있는지 관찰 해보고 항생물질인 죽염,프로폴리스,자이리톨 등을 사용하여 뮤탄스균의 억제,제거를 확인 해 보는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그 과정에 있어 궁금증이 생겨 몇가지 여쭤볼려고 연락드립니다.
1. 이미 뽑힌 치아에서도 충치가 발현 될 수 있는 조건,요소가 충족 된다면 충치가 발현 될 수 있을까요?
2. 충치는 이미 발현되면 자연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알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가 치아의 조직이 이미 손상되서인지 뮤탄스균이 제거되지 않아서 인지 궁금합니다.
3. 제가 현재 실험을 위해 필요한 물품들이나 장비들을 모두 갖추었는데 저희 팀이 준비 한 치아가 팀원이 어릴적에 뽑은 유치로 실험을 준비한 것 인데 유치다보니 그 크기가 매우 작아 저희가 충치가 발현되었는지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저희 팀이 그런 상황에 놓여있어 실험을 원할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영구치를 기부 받을 수 있을까요? 만약에 저희 팀이 영구치를 기부 받을수 없다면 저희 팀이 치아를 구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울더블유치과병원입니다.
우선 치의학에 관심을 가져주신데 대해서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뮤탄스균을 배양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 이를 실험하려는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1. 귀하의 실험을 실행하는데 있어 우선 충치의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충치란 석회화된 치아 경조직이 탈회되는 현상이고 탈회과정은 acid에 의하여 진행됩니다. 다시 말해 충치란 구강내 세균이 만들어낸 acid에 의한 치아경조직의 물리적 탈회라고 이해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충치의 개념을 이해하고 준비하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2. 첫 번째 질문에서 이미 뽑힌 치아에서도 충치가 발현될 수 있느냐고 하셨는데 위에 설명한대로 치아경조직의 물리적 탈회는 말 그대로 물리적 과정이므로 조건만 충족되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3. 두 번째 질문의 한번 충치가 생기면 자연 회복이 불가능한 이유는 손상된 치아경조직의 완벽한 재석회화 과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구강내 세균의 존재 하에서 acid가 계속적으로 발생이 되는 조건에서라면 탈회가 더욱 지속될 것입니다.
4. 영구치의 기부에 대하여
환자에게서 발거한 치아도 적출물에 해당되며 적법하게 처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법적으로 가능한지 검토하여 추후 연락드리겠습니다.
아무쪼록 귀하의 연구에 큰 발전이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귀하의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검토 후 연락드리겠습니다.